미래교육상의 빛나는 수상작
수상 | 부문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미래교육연구 | 김영욱 (대전고등학교) | ON-통상상(通相想)프로그램을 통한 미래 국어 역량 키우기 |
최우수상 | 인성교육혁신 | 차선령 (목포석현초등학교) | 8세 인생질문에 책GPT로 답을 함께 찾아가다 |
미래교육연구 | 김효성 (진접중학교) | 알파세대를 위한 모듈형 창업체험 프로젝트(feat.린치핀모형) | |
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임권일 (표선중학교) | 킵플(Keapl) 앱을 활용한 학생과학자들의 탄소ZERO 세상 만들기 |
인성교육혁신 | 홍현주 (토월초등학교) | 주제 융합을 통한 인성교육 수업 연구 사례 | |
장려상 | 미래교육연구 | 성진규 (보름초등학교) | 세상을 향한 HI-FIVE 프로그램으로 미래 역량 키우기 |
미래교육연구 | 김빛나라 (신풍초등학교) 박아영 (산북초등학교) |
데이터로 시작하는 인공지능 : 설계기반연구 적용 | |
인성교육혁신 | 지선영 (대전도솔초등학교) | 효머니즘을 그리는 SMART 큐레이터 성장기 | |
인성교육혁신 | 이은숙 (대전도안중학교) | GOOD-V.T.S 프로젝트를 통해 퍼지는 K-인성교육 | |
특수교사상 | 특수교육연구 |
최윤진 (경기도화성오산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) 이은경 (가수초등학교) 정희진 (호연초등학교) 유수경 (새봄초등학교) 김미현 (화산초등학교) 이수연 (오산초등학교) 김효남 (동학초등학교) |
북커홀릭들의 북치북커 이야기로 함께 커가는 아이들 |
우수상 |
윤혁 (광주선광학교) 송연철 (전남사대부설중학교) |
Y.M.C.A 프로그램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미래 민주 시민 역량 강화 | |
정지현 (부산해마루학교) | I AM BRIDGE-AI로 장애학생과 미래사회 연결하기 | ||
대상 | 동화/인문도서기획안 | 김지선 (대전월평초등학교) | 따라 말하며 배우는 인기 있는 초등생활 / 나는 내가 자랑스러워요 |
최우수상 | 백다은 (동산초등학교) | 킹크랩 | |
김가람 (검산초등학교) | 하필 오늘 | ||
미래키움상 | 미래키움 | 전승민 | 예비 교사로서의 밑거름 |
우수상 | 김민녕 | 민들레 아이들과의 교학상장 | |
정세빈 | 교육 봉사의 성장과 시사점: 다문화·저소득층 학생들과의 멘토링 경험 |
수상 | 부문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인성교육혁신 | 이현준 (서울상신초등학교) | 산(S.A.N.)을 거닐며 프로그램을 적용한 숲세권 프로젝트를 통해 인성 교실 만들기 |
최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허수정 (서울녹천초등학교) 김지현 (서울안천초등학교) 김하영 (서울공진초등학교) |
사계절 프로그램으로 생태•에듀테크 역량 기르기 |
인성교육혁신 | 오선영 (미래고등학교) 강승한 (원주샘마루초등학교) |
일상의 소소한 행복 찾기「소담소담」 활동 | |
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최주민 (봉성초등학교) | 인공지능 기반 음악 창작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|
인성교육혁신 | 김수은 (토월초등학교) | 10살 어린이들의 ‘기부 프로젝트’를 통해 발견한 나눔의 행복 | |
미래형 교수서비스 및 교육사업 연구 | 손지상 (서탄초등학교) | 학부모 상담용 챗봇 서비스 | |
장려상 | 미래교육연구 | 주세진, 유승민 (샘물중고등학교) | L-I-N-K 프로젝트를 통한 생태의식과 문제해결력 기르기 |
이대형, 이하얀 (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) | 노션과 피그마를 활용한 한·태국 그림책 만들기 | ||
인성교육혁신 | 노들 (서울북성초등학교) | 디지털 세상, 올바르게 만들기 - 디지털 사회에서 올바른 시민성을 함양해요 | |
전혜연 (대전자운중학교) | 희희낙락 3GO 예술활동을 통한 마음 근육 키우기 | ||
미래형 교수서비스 및 교육사업 연구 | 이동규 (완도고등학교) | 함께하는 미래 Co-Co 프로그램 : 고교학점제, 과목 선택부터 입시 면접 대비까지 심리스 | |
심정섭 (삼포초등학교) | 통일버스 타고 메타버스와 만나 평화통일실천의지를 키워요 |
수상 | 부문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인성교육혁신 | 이한솔 (중앙중학교) | [인성교육혁신] 우리 동네를 달리며 찾아가는 '함께'의 의미 |
최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송해남, 최형윤, 전혜린 (약대초등학교) | N.E.E.D.수업으로 마음의 SEED를 뿌려요!(노벨 엔지니어링) |
인성교육혁신 | 현운석, 서휘경 (고대초등학교) | 한 장 한 장 이여붙여 완성하는 마음 성장 이야기 | |
학교공간혁신 | 유승민, 박나래 (샘물중고등학교) | 공동 창작 활동을 통한 학교 광장 만들기 | |
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이응석, 김정언 (봉성초등학교) | 메타버스 기반 소인수학급과 다인수학급의 수학과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|
인성교육혁신 | 이지애 (성동초등학교) | 『온고지신(溫高智身) 프로그램』으로 미래사회를 주도할 인성역량을 함양해요. | |
학교공간혁신 | 박재곤 (용수초등학교) |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든 공간혁신 놀이, 쉼, 배움이 있는 ‘생각을 나누는 꿈 터' | |
공감상 | 미래교육연구 | 전혜연 (대전동화중학교) | AI 기반 온(ON) 택(T.A.C.) 트(T) 프로젝트로 뮤직 크리에이터 키우기 |
인성교육혁신 | 김지원, 차유미, 강한나 (초림초등학교) | 같이 읽고 가치 열매 맺기 | |
학교공간혁신 | 김진영 (인천대정초등학교) |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을 통하여 쉼과 놀이가 가능한 공간 만들기 | |
장려상 | 미래교육연구 | 권달현 (창원사파고등학교) | 매스크래프트 : 메타버스, 그리고 경험의 확장 |
박은주 (창덕여자중학교) | 미래세대, 학교는 어떻게 공존과 협력을 가르칠까? : IDM 교육게임 활용 수업 | ||
인성교육혁신 | 이병호, 고원준 (권선초등학교) | 영상 제작 M.O.V.E 프로젝트로 인성 역량 키우기 | |
최미향, 정준규, 이경언, 염승돈 (평내초등학교) | 마스크 시대에 자기 표현력을 키우는 긍정 마.이.크 프로젝트 | ||
학교공간혁신 | 박창순 (세종중학교) | [학교공간혁신] LEGO 프로세스를 활용한 학교공간혁신 사용자 참여 설계 | |
전종환, 김정기 (양곡중학교) | 우리 학교 공간혁신 프로젝트(grow your library;사람과 공간이 함께 성장한다) | ||
본상 | 미래교육연구 | 박환석 (대신중학교) | 일상생활 속 딜레마 상황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 연구 |
신영희 (슬기초등학교) | 교과융합형 프로젝트(PBL) 학습으로 미래 핵심역량 기르기 | ||
조하나, 정인영, 배우신 (문초등학교) | G.R.A.B 프로그램으로 핵심역량 다잡기 | ||
인성교육혁신 | 이정민 (광명광성초등학교) |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협동중심의 사계절 인성교육 | |
김동은 (번동중학교) | [인성교육혁신] MIC로 인성의 목소리를 높이는 가능성의 공동체! | ||
하승화 (포은초등학교) | [인성교육혁신] 감성 B.O.O.K 프로그램으로 공감 ON(溫)교실 만들기 | ||
학교공간혁신 | 이철민, 전현선, 정찬웅 (부천동초등학교) | [학교공간혁신] 함께 만들어요!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| |
양다연 (금오초등학교) | HAPPY 공간 혁신을 통한 행복한 학교 공간 만들기 | ||
정호근, 박인수 (보성고등학교) | 생태 교육 기반의 창의적 교육 공간 창조하기 |
수상 | 부문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미래교육연구 | 김재원 (오태초등학교) | 애플리케이션 활용 인권영화음악 제작활동으로 세계시민의식과 음악적 창의융합사고 역량을 길러요 |
최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이원재 (구만초등학교) | Flipped D·I적용『읽기 이해 증진프로그램』(2019. 운영) |
인성교육혁신 | 지용기 (사곡고등학교) | 지역사회 연계 사제동행 교외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| |
학교공간혁신 | 손균욱 (수왕초등학교) | 학교 교육 3주체의 소통과 협력을 통한 학교 공간혁신 | |
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김지연, 김대성 (대구죽곡초등학교) | Blended PBL을 활용한 컴퓨팅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 |
인성교육혁신 | 김정섭 (갈뫼중학교) | 인성이 니스펙(respect)이다 | |
학교공간혁신 | 김종훈 (명원초등학교) | 꿈꾸고 나누는 미래의 터전, 꿈나래터 | |
공감상 | 미래교육연구 | 김덕호 (금악초등학교) | 지속적인 미래 교육을 위한 작은 학교 발명 도전기 |
인성교육혁신 | 장해진, 이슬기, 이은채, 은혜진, 오연주 (서울신기초등학교) | 온라인 백신 프로그램으로 인성면역 UP! 마음거리 DOWN! | |
학교공간혁신 | 한지선, 조남숙, 이세영, 최수징 (인천남동초등학교) | 공간이 사람을 만든다 | |
장려상 | 미래교육연구 | 강우람 (도하초등학교) | ALL-STAR 프로젝트로 미래핵심역량을 함양한 꼬마과학자 만들기 |
이동선 (광남초등학교) | 코로나19를 극복하는 SMART-ON 수업으로 수학교과역량 신장하기 | ||
인성교육혁신 | 이미영 (대전선유초등학교) | 꼬마 힙(HIP)스터들이 만드는 행복학교 탐구생활 | |
배종천, 박승민 (성베드로학교) | 모두가 함께 하는 코로나19 방역수칙과 장애-일반학생이 함께하는 인성개발 프로그램 소개 | ||
학교공간혁신 | 김형준, 김성관, 심정아, 양규모 (광남초등학교) | 움트리꿈나래터에서 앙트십을 만나다 | |
김석희, 이지영 (회룡초등학교) | 공간주권 프로젝트-학생과 교사가 함께 만드는 메이커스페이스 | ||
본상 | 미래교육연구 | 이은총 (광주극락초등학교) | 교사 교육과정X교수평·피 일체화 for ALL' 모든 학생의 배움과 성장 이끌어내기 |
김송현 (광활초등학교) | 미래교육 4.0 프로젝트로 미래교육핵심역량(4C) 기르기 | ||
이응석 (구미신당초등학교) | UbD 기반 온.인.리 원격수업으로 수학과 미래 역량 기르기 | ||
문윤정, 변윤섭, 안진, 서영배, 이우민 (인천만석초등학교) | 미래를 준비하는 블렌디드 환경교육 지침서 | ||
서원혁 (사내초등학교) | ‘마음을 IT는 溫line 수업’을 통해 전인교육을 구현하는 원격수업 모델 개발연구 | ||
강한별, 이대열 (석송초등학교) | ABCD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젝트를 통한 AI 리터러시 신장 | ||
황지연 (흥도초등학교) | 2020 블렌디드 러닝, 일상 수업이 되기까지 | ||
양규모 (광남초등학교) | 칸아카데미와 활동 수학 프로그램으로 열어가는 미래형 수학 수업 만들기 | ||
인성교육혁신 | 박효경 (경민고등학교) | 거리두기 사회를 건너는 '우리'라는 징검다리 | |
김현승 (풍천중학교) | 시(詩)로 나누리, 가치 나누리 | ||
이수진 (서울은로초등학교) | 소외 되는 아이 없이,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는 '아이 맞춤형 직업놀이 인성교육 시스템' | ||
이설희 (함라초등학교) | 너나들이 예술 프로그램으로 아름다운 마음밭 가꾸기 | ||
이영중 (익산어양초등학교) | 아지트, 아이들의 마음을 지키는 트레이닝 | ||
유은숙 (사내고등학교) | 동물복지 동아리 레벨업 “고양이를 부탁해” | ||
박혜빈 (초당초등학교) |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화가, 「에드워드 호퍼」와 혼자 있는 나의 시간, 나의 마음 채우기 | ||
최찬희 (근덕초등학교) | 파닥파닥 감정 다룸과 인권 감수성 함양으로 참시민 되기 | ||
학교공간혁신 | 최일훈 (서감초등학교) | 보금자리 프로젝트로 따뜻한 인성이 꽃피는 공간 만들기 | |
유은숙 (사내고등학교) | 공간의 재발견 "코이 프로젝트" | ||
이우진 (안성여자중학교) | 예술 공감터(학교공간 혁신) 조성 우수사례 | ||
정호근, 박인수 (보성고등학교) | 프로젝트 기반의 창의적 교육 공간 만들기 | ||
입상 | 인성교육혁신 | 김종훈, 최일훈 (명원초등학교) | 협업융합 MEET 프로그램으로 창의인성과 만나다 |
수상 | 부문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인성교육혁신 | 정은석(양주고등학교) | 「교사-학생의 라포형성과 상호협상단계 매뉴얼」을 통한 혁신적인 인성교육 실천 |
최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한동규(송산중학교) | 사회참여형 과학동아리 활동을 통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|
인성교육혁신 | 송현주(인천구월서초등학교) | 『행복나래 교육과정』으로 함께 배우고 나누며 삶의 힘을 키워요. | |
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진연자(신곡중학교) | 디베이트와 조작북을 통한 싸이톡톡(Sci Tok Talk) 프로젝트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|
윤현철(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) | 미래를 만드는 언어, 수학과 에듀테크 활용 미래형 교수‧학습 사례 연구 | ||
송영순(새론중학교) | 문제의 여왕 송쌤과 함께하는 대 환상 과학파티(PBL과 비주얼싱킹을 활용한 창의적으로 탐구하여 생각하는 힘을 가진 학생 만들기 프로젝트) | ||
전자옥(감정초등학교) | Eco Green 활동으로 성장하는 그린 멘토 | ||
이진명(부천서초등학교) | 체험융합 4G Dream 프로젝트로 LTE 4.0시대 인재 역량 UP! | ||
인성교육혁신 | 김수연(서울숭덕초등학교) | 1인 1책 어린이 저자 사思·서書·고高·생生 프로젝트 | |
김보람(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) | 다함께 우리 책 만들기 | ||
고상훈( 제주 하원초등학교) | 공동체 의식을 틔우는 교실자치 | ||
황정훈(경기 의정부 가능초등학교) | 마(음을 모은) 광(장 중심의) 국(가 운영) 프로그램을 통한 바른인성과 민주시민역량 함양하기 | ||
이정아(천안 청수초등학교) | 육일이들의 행복한 배움 공동체 |
수상 | 부문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미래교육연구 | 김빛나 외 1명 (서울신사초등학교) | 상상·만·개 프로그램을 통한 미래핵심역량 기르기 |
최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최성인(진천상산초등학교) | 스마트 디바이스(Smart Devices)를 활용한 글쓰기 프로젝트학습(DSMW PBL) |
송래훈 외 2명(대구중앙초등학교) | 에듀테크(G-Suite for Education)를 활용한 미래협력 프로젝트 수업 적용 연구 |
||
인성교육혁신 | 이경복(별내중학교) | “소․나․무의 아름다운 동행”으로 인성up 행복up 학교 만들기 | |
이현아(서울홍릉초등학교) | 인성·창의·감성을 기르는 그림책 창작 수업 | ||
우수상 | 미래교육연구 | 김석희(회룡초등학교) | 창의융합형 수업 스캐폴딩을 위한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 연구 |
김남은 외 1명(거제여자중학교) | 체인지 메이커(Changemaker) 수업 프로그램 [꿈길 만들기]를 통한 개인적 성장 사례에 대한 탐색적 연구 |
||
김안나(도담중학교) | 같이(Together)하는 가치(Value), 수업에 세상을 더하다 | ||
한상훈 외 1명(별가람중학교) |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 웹기반 스마트 학습도구 개발 | ||
인성교육혁신 | 이설희(영만초등학교) | 감성충만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역량 함양 | |
박성윤 외 2명(송신초등학교) | CPR 프로그램으로 학생언어문화 살리기 | ||
박효경(경민고등학교) | 지(知), 정(情), 의(意)로 성장하는 행복한 우리 | ||
권혁기(대구동원초등학교) | 더불어 교육과정으로 인성역량 성장하기 | ||
장려상 (미래키움) |
미래키움상 | 유용재(서울대학교) | 교사의 길을 묻는 내게, 아이들은 미소로 답했다 |
이슬기(한국교원대학교) | '다문화학생'이 아니야! | ||
이우열(전주교육대학교) | 아프리카가 가르쳐준 교육 | ||
이대현(경인교육대학교) | 나를 선생님으로 만들어준 시간 |
수상 | 구분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교육환경혁신 | 김영인(산평초등학교) | "작은 학교 커다란 배움 LTEA 기지국 프로그램으로 함께 커가는 행복한 학교 만들기" |
최우수상 | 미래창의수업 | 최경철(예봉중학교) | 융합 메이커 교육, 미래역량을 디자인하다 |
교육환경혁신 | 박민우(오치초등학교) | 행복 꽃길 로드 프로그램을 통한 성격 5요인 성장하기 | |
우수상 | 미래창의수업 | 이관구(대구영선초등학교) | 비조작 자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증진 방안 |
교육환경혁신 | 지용기(상모고등학교) | 교외 자율 동아리 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(학교폭력예방)과 진학지도 |
|
장려상 | 미래창의수업 | 신태섭(장명초등학교) | 디자인 사고 & SW 모델링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델 개발 및 적용 |
미래창의수업 | 최현주(시흥중학교) | 손바닥 소설을 통한 창의적 수업 활동 | |
교육환경혁신 | 이종현(용마초등학교) | 도전과 열정으로 보다 더 따뜻한 세상을 만들자 | |
교육환경혁신 | 유은숙(사내고등학교) | 마음을 변화시키고 나를 바꾸는 체인지 메이커 활동 | |
장려상 (미래키움) |
미래키움 | 문인선(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) | 빠른 수업보다 바른 수업 |
미래키움 | 오현주(국민대학교 교육학과) | 중학교 프로젝트 수업 모형 제시 청춘 프로젝트 | |
미래키움 | 서현진(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) | 교육의 본질로 돌아갈 시간, 배려교육으로 스마트하게 |
수상 | 구분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미래창의수업 | 구교정 (인천 부일여자중학교) | 자기성찰과 몰입(flow)으로 창의성을 키우는 과학 교수-학습 활동 |
최우수상 | 미래창의수업 | 채희진 (전남 과학고등학교) | 장치 제작 스토리텔링 물리수업 실천으로 학생 과학 창의력 자극 |
교육환경혁신 | 이현규 (세종 아름초등학교) | 사랑과 웃음으로 모두가 행복한 A.L.L 바른 어울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중한 너와 나 그리고 우리들 |
|
우수상 | 미래창의수업 | 지태민 (서울 미아초등학교) / 하효정 (서울 신우초등학교) |
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세계 여행 프로젝트 학습 |
교육환경혁신 | 박현성 (경남 신해신안초등학교) | 다양한 『친구 사랑 동아리』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교폭력 없는 안심학교 만들기 |
|
장려상 | 교육환경혁신 | 정유비 (인천 삼산승영중학교) | 예술이 꽃피는 섬으로의 항해 |
미래창의수업 | 구은복 (경남 대청초등학교) | 나만의 마술 창작 및 마술 재능 기부 STEAM 지도안 | |
미래창의수업 | 최미나 (충북 만승초등학교) | 통계로 바라보는 세상 프로젝트 학습 | |
미래창의수업 | 박환석 (서울 대신고등학교) | 능동적 참여 학습을 위한 게임 활용 수업의 올바른 방향성 제시 |
수상 | 구분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목정미래재단이사장상 연구혁신(논문) |
한명숙 (경기 소화초등학교) | 긍정적 정서 함양 프로그램을 통한 회복탄력성 증진 |
최우수상 | (주)미래엔 대표상 창의수업(동영상) |
권정현 (충북 동성초등학교) | 사회+과학 통합수업 지도안 |
(주)미래엔 대표상 연구혁신(논문) |
김진형 (서울 갈현초등학교) | 초등학교 인성교육 증진을 위한 주제중심 수학 학습방법 연구 | |
우수상 | 서울교총회장상 연구혁신(논문) |
유승순 (서울 송천초등학교) | 액션러닝 기반 프로그램을 통한 합리적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신장 |
JTBC 사장상 창의수업(동영상) |
김광호 (충남 북일고등학교) | 거꾸로교실의 응용활동 | |
장려상 | 창의수업(동영상) | 최우석 (서울 신용산초등학교) | 거꾸로 교실 수업사례 |
창의수업(동영상) | 박경화 (서울 봉림중학교) | 붐웨커(Boom Whacker) 악기 학습 | |
연구혁신(논문) | 한성덕 (서울 행당초등학교) | B.M.W. 타고 , 서로 다른 친구끼리 톡톡(talk talk) | |
연구혁신(논문) | 강영숙 (서울 강서초등학교) / 구은정 (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) |
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Flipped-STEAM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|
|
연구혁신(논문) | 주현주 (서울 충암중학교) | 영화를 활용한 중학교 영어 방과 후 수업 설계 방안 |
수상 | 구분 | 이름(소속) | 주제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목정미래재단이사장상 연구혁신(논문) |
박상일 (복자여자중학교) | 창의적 체험활동(학생 자율 동아리)연계 융합인재교육(STEAM)을 통한 과학 교육 활성화 |
최우수상 | (주)미래엔 대표상 창의수업(동영상) |
함종호 (부여여자고등학교) | Street Art Project - 확대되는 교실 |
(주)미래엔 대표상 연구혁신(논문) |
이경선 (서울농학교) | <그림-수화-문자>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프로그램이 청각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|
|
서울교총회장상 연구혁신(논문) |
김영욱 (대전도안고등학교) | 쓰기 유창성이 중.고등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|
|
JTBC 사장상 창의수업(동영상) |
정정훈 (장락초등학교) | 질문과 토론으로 하는 수업 | |
장려상 | 창의수업(동영상) | 김희수 (안동영명학교) | 순환운동을 통한 체력 향상하기 |
창의수업(동영상) | 이기훈 (명덕외국어고등학교) |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력 향상 | |
창의수업(동영상) | 최진규 (서령고등학교) | 거꾸로 수업의 공유(자료화)를 통한 창의력 신장 | |
연구혁신(논문) | 강용철 (경희여자중학교) | 학생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학교급별 교육 활동 유형 분석을 통한 성공 요인 탐색 |
|
연구혁신(논문) | 정유비 (삼산승영중학교) | 스마트교육을 적용한 독보력 향상 방법 |